2025년 4대보험요율 및 세후 계산 방법 등의 정보를 찾고 계신가요? 근로자와 사업주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대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사회보험으로, 매년 요율이 변경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 4대보험요율과 세후 월급 계산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로자와 사업주가 공동 부담합니다.
4대보험 종류 및 역할
- 국민연금: 노후 대비를 위한 연금
- 건강보험: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한 보험
- 고용보험: 실업 시 실업급여 지급 및 고용안정 지원
- 산재보험: 근무 중 사고 발생 시 치료비 지원
✅ 산재보험은 사업주가 100% 부담하며, 근로자는 납부하지 않습니다.
2. 2025 4대보험요율
2025년 기준 4대보험 요율을 정리하였습니다.
2025 4대보험요율 표
보험 종류 | 총 요율(%)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
국민연금 | 9.00% | 4.50% | 4.50% |
건강보험 | 7.09% | 3.545% | 3.545% |
장기요양보험 | 12.95% (건강보험료의) | 6.475% | 6.475% |
고용보험 | 1.8% | 0.9% | 0.9% + 고용안정 |
✅ 고용보험 사업주 부담분은 기업 규모 및 업종에 따라 다릅니다.
3. 4대보험 계산 방법
월급에서 공제되는 4대보험료를 직접 계산해보겠습니다.
예시: 월급 300만 원일 경우 4대보험료 계산
- 국민연금: 300만 원 × 4.5% = 13만 5천 원
- 건강보험: 300만 원 × 3.75% = 10만 6천 350원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 × 12% = 1만 3천 772원
- 고용보험: 300만 원 × 0.8% = 2만 7천 원
✅ 총 공제액: 282.122원
세후 월급 계산
세전 월급 300만 원 – 4대보험 공제액 28.2만 원 = 271.8만 원 (세후 월급)
4. 4대보험 자동 계산기 사용법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천 4대보험 자동 계산기
✅ 계산기를 이용하면 월급별 예상 세후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2025년 4대보험 요율을 기준으로 세후 월급 계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정확한 보험료를 확인하려면 자동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사업주와 근로자는 매년 변동되는 요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4대보험을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나요?
월 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는 일부 4대보험 적용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도 4대보험을 납부해야 하나요?
프리랜서는 원칙적으로 4대보험 의무 가입 대상이 아니지만,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지역가입자로 가입해야 할 수 있습니다.